전주시, 국토부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선정으로 3년간 324억 투입
전주시, 대한민국 거점 스마트도시로 ‘우뚝’
- 시,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‘2025년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’ 공모사업에 전국 유일하게 선정
- 찾아가는 생활 에스오시, 초개인 맞춤형 인공지능 특화 서비스 등 4개 분야 12개 서비스 구축
-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, 전주스마트 열림터 구축 및 운영
○ 전주시가 찾아가는 생활 에스오시(SOC)로 시민들에게 새로운 도시 생활 환경을 제공하고, 시민을 지키는 건강·안전 인공지능(AI)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거점형 스마트도시가 된다.
○ 시는 올해 국토교통부가 주관 ‘2025년 거점형 스마트시티 조성’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.
○ ‘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’은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실증하고 그 성과를 전국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스마트 거점 도시를 조성하는 국토부의 핵심 정책 사업으로, 올해는 전주시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정돼 인공지능(AI) 융합 거점 스마트 대표 도시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했다.
○ 시는 이번 공모 선정에 따라 향후 3년간 국비 160억 원과 지방비 160억 원, 민간 투자 4억 원 등 총 324억 원을 투입해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하게 된다.
○ 이를 위해 시는 ‘전북 스마트 리전(Region)의 출발점, 맞춤형 도시(Adaptive city), 전주!’를 비전으로 △찾아가는 생활 에스오시(SOC) △초개인 맞춤형 인공지능(AI) 헬스케어 △시민 환원형 기후위기 대응 △인공지능(AI) 기반 도시 안전 등 4개 분야 12개 서비스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.
○ 특히 시는 지역 정보통신기술(ICT) 산업 육성을 이끄는 (재)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 혁신 실증 공간인 ‘전주 스마트 열림터’를 구축하고, ‘전주 데이터 이음 플랫폼’을 통해 도시 전반의 데이터를 수집·분석해 시민·창업자·기업 등에게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(AI) 기술 교육과 창업 기회도 제공한다.
○ 또한 이 사업은 ㈜진인프라와 현대자동차(주), 기아차 등 민간기업과의 컨소시엄을 비롯해, 전북특별자치도, (재)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, (재)전주시정연구원, 전주대학교, ㈜심시스글로벌, ㈜이에스테크, 마이크로소프트 등 민·관·학 협력 기반의 스마트도시 생태계 조성에 중점을 두고 추진될 예정이다.
○ 이를 통해 시는 각 서비스와 연계된 전북 광역 데이터 허브를 활용해 도내 지자체는 물론, 전국 확산이 가능한 표준 플랫폼 도시 모델을 구현한다는 구상이다.
○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“전주 인공지능(AI) 스마트 거점도시를 시작해, 전북 전체를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도시로 육성해 도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경쟁력 제고를 함께 이루겠다”고 밝혔다.
○ 김 지사는 이번 공모 과정에서 2036년 하계올림픽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조성과 연계한 영상메시지와 더불어 국토부를 직접 방문해 설명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왔다.
○ 우범기 전주시장은 “전주시의 이번 공모사업은 전주 지역 김윤덕 국회의원과 이성윤 국회의원, 정동영 국회의원을 비롯해 이춘석 국회의원과 전북특별자치도의 지원을 통해 선정될 수 있었다”면서 “앞으로 국내 최고 기업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전북특별자치도의 대표 스마트 거점 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”고 강조했다.
<출처 : 전주시 신성장산업과 및 공보담당관>
young | 조회 60 | 2025-07-01 13:17
첨부파일